세컨 PC에 구름 OS를 설치하게 되었다.
사실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지 않는 툴을 사용한다는 건 IT 계열 사람들에게 설레면서도 두려운 일이다.
하지만 한번 길을 개척해보기 위해 시작한다.
구름 OS 설치는 따로 캡쳐할 수 없었기 때문에 나중에 따로 어떻게든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다.
그 전에 First PC인 Windows와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Barrier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해보고자 한다.
아래는 Barrier git 주소이다.
https://github.com/debauchee/barrier
debauchee/barrier
Open-source KVM software. Contribute to debauchee/barri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개인적으로 컴퓨터를 다루는 사람으로써 무언가를 "내가" 개발하는 것은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왜냐하면 아주 똑똑한 개발자들이 이미 아주 좋은 툴들을 많이 만들어두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그것을 잘 사용하는 사용자가 아주 똑똑한 사용자라고 생각한다. Git 주소를 들어가보면 각 OS에 맞는 초기 설치 작업이나 셋팅에 대해서 적어두었다. 나는 구름 OS를 사용하므로 Linux 계열의 빌딩을 진행한다.
Building on Linux
Jonathan Martens edited this page on 7 Jun · 13 revisions
Binaries Built
- barrier the GUI front-end and "main" program
- barriers the CLI server component
- barrierc the CLI client component
note: these aren't the only things build at compile time, but merely what the end-user is expected to use.
Preparing your system
Ubuntu/Debian/Raspbian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sudo apt install git cmake make xorg-dev g++ libcurl4-openssl-dev \ libavahi-compat-libdnssd-dev libssl-dev libx11-dev \ libqt4-dev qtbase5-dev
apt update와 apt install 두가지를 실행시켰다.
구름 소프트웨어에서 Barrier를 검색한다.
아래 버전이 더 높은 제품을 설치한다.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이 시너지 설정이라고 창이 뜬다. (하지만 barrier이다.)
나는 한국사람이니까 당연히 한국어로 해야겠다. 근데 영어가 왠지 호환이 더 잘될 것 같다. 다음 버튼을 누른다.
서버인지 클라이언트인지 누르라는데 나는 구름 OS가 세컨 PC이므로 Client를 누른다.
그럼 이렇게 IP 셋팅할 수 있는 창이 뜬다.
본체의 IP를 입력하고 각각 시작을 누르면 로그에 어쩌구 저쩌구 남는다.
보통 여기에서 잘 될 것이다. 하지만 나는 안되었다. 이건 다음 편에 계속..
'2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10 Barrier 설치하기 (0) | 2020.08.11 |
---|---|
Barrier 사용이 안되지만... 해결이 안되었다. (0) | 2020.08.10 |
CentOS Banner File 설정(issue.net / issue / motd) (0) | 2020.07.13 |
윈도우 10 실행창 명령어 (0) | 2020.07.10 |
Windows server RDP 추가 (0) | 2019.12.04 |